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2024 시즌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LCK 스토브리그/2023]] == >'''우리의 목표는 크게 3가지였다. 첫째, 스포츠단 운영에서 가장 중요한 ‘우승’을 해내는 팀을 만드는 것. 다만 예산은 전년도 수준을 유지할 것. 두 번째는 당연한 얘기지만 강점은 유지, 약점은 보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 세 번째는 전 포지션에서 경쟁력을 확보해 밸런스 좋은 팀을 만드는 것. 팀의 협상 전략을 한 문장으로 표현하자면 ‘[[박도현(2000)|2개]]의 [[김건우(프로게이머)|기둥]]을 박아놓고서 집을 지어나가자’였다.''' > ---- >유상선 팀장 -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005&aid=0001660480|한화생명 스토브리그 비하인드 인터뷰]] 中 11월 14일, [[https://www.youtube.com/watch?v=QOZc8_Kdu8U|손대영 총감독의 계약 종료]]를 발표했다. 11월 17일, 오후 7시 30분 [[https://www.youtube.com/watch?v=Cp3MQt4B9to|영상]]을 통해 [[박도현(2000)|바이퍼]]와의 1년 재계약을 확정지었다. 그 동안 실력 있는 선수를 재계약해 핵심으로 두고 리빌딩을 한 적이 없었던 한화생명이었기에[* 2020 시즌엔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그리핀]]에서 나온 [[손시우|리헨즈]]와 바이퍼를 영입했으나 시즌이 끝난 후 두 선수 모두 팀을 떠났고, 2021 시즌엔 [[DRX/리그 오브 레전드|DRX]]의 [[DRX 2020 스토브리그 팀 공중분해 사건|공중분해]]로 FA가 된 [[정지훈(2001)|쵸비]]와 [[김혁규|데프트]]를 영입했지만 역시나 스토브리그에서 팀을 떠나며 다음 시즌 플랜이 꼬였던 전적이 있다.] 팬들은 바이퍼의 재계약 소식에 매우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더군다나 돈이 문제가 될 리가 없는 바이퍼가 당연히 그냥 재계약을 했을 리는 없고,[* 지난해 바이퍼가 LCK 복귀를 결심했던 데에는 돈 문제보다 LCK 우승에 대한 갈망이 크게 작용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직전 시즌을 망쳤음에도 불구하고 바이퍼가 재계약을 했다는 것은 구단으로부터 2024 시즌의 구상안을 전해 듣고 마음이 움직였다는 증거라고도 볼 수 있겠다. 한화생명으로서도 아직까지 [[탬퍼링|이적 시장이 열리지 않아서 타 선수와의 접촉은 불법 행위]]인 만큼 빨리 공개해도 아무 문제가 없는 바이퍼의 재계약만 공개한 것으로 보인다.] 대형 영입의 신호탄 혹은 킹겐과 제카도 같이 재계약하는 소식 아니냐며 기대하는 반응과 더불어 이번만큼은 플랜을 잘 짜서 슈퍼팀에 걸맞은 영입을 했으면 좋겠다는 여론이 있다. 11월 20일, [[https://twitter.com/HLEofficial/status/1726511330121912758|최인규 감독과 이재하 코치의 1년 재계약]]을 발표했다. 11월 21일, [[https://twitter.com/HLEofficial/status/1726757153330131086|제카와의 2년 재계약을 발표]]하였고, 이어서 [[황성훈|킹겐]]과 [[김정민(2000)|라이프]]와 계약을 종료하였다는 소식을 발표했다. 2군은 [[김한기]] 코치와 [[구관모|구원]], [[조우진(프로게이머)|로머]], [[주민규(2002)|듀로]]와 계약 종료, [[최성훈(프로게이머)|최성훈]] 전력유닛분석장과 윤한길 3군 코치와 계약을 종료했다. [[https://twitter.com/HLEofficial/status/1726761198333698147|#]] 11월 22일, [[유환중|딜라이트]]의 영입을 발표했다. [[https://twitter.com/HLEofficial/status/1727251675558334631|#]] 11월 24일, [[최현준|도란]]의 영입을 발표했고, 뒤이어 [[한왕호|피넛]]의 영입을 발표하며[* 피넛을 만개시킨 팀이 [[ROX Tigers/2017년 이전|이 팀]]이기도 했기에 7년만의 복귀이기도 하다. 다만 그 사이 팀의 이름이 바뀌었기에 영입 오피셜에는 'Welcome Back'이 아닌 'Welcome'으로만 적힌 듯.] 주전 로스터가 확정되었다. [[https://twitter.com/hleofficial/status/1727976620152238337?s=46&t=Fg7DZdQKBjCP-ddfkTPxtg|#]] [[https://twitter.com/hleofficial/status/1728037925961842727?s=46&t=Fg7DZdQKBjCP-ddfkTPxtg|#]] 한화생명은 2020년 이후 해마다 수준급 선수를 2~3명씩 영입해왔던 팀이지만 남은 자리의 부실함으로 인해 한계에 봉착하기도 했었는데, 이를 통해 겪은 시행착오를 교훈삼아 올해는 핵심 코어를 빠르게 잡고[* 롤드컵 진출에 실패해 제카의 재계약이 힘들 뻔했지만 한화생명측이 제카가 원하는 비전을 제시하면서 팀과 함께 하기로 결정했다고 하며 바이퍼의 경우에도 국내 리그 우승의 염원은 물론 본인도 한화생명에서만 유난히 아쉬운 모습을 보여줬다보니 증명하고 싶다는 오기도 남아있어서 재계약에 서명했다고 한다.] 팀의 운영 문제를 해결해 줄 선수들을 영입하며 인수 5년만에 처음으로 '슈퍼팀'에 걸맞은 로스터를 만들었다. 후문에 따르면 한화생명의 첫번째 목표는 23시즌 팀에 고통을 주었던 정글 & 서포터의 최우선 교체였으며 일찌감치 피넛과 딜라이트를 생각했다고 한다. 탑의 경우에도 제도기가 핫한 매물이었는데, 재작년에 [[패닉 바이]]까지 하며 너구리, 캐니언을 둘 다 노리다가 너구리는 휴식 선언, 캐니언은 담원 잔류를 선택해 물 건너갔고 그 와중에 코어인 쵸비, 데프트도 놓치며 스토브리그를 완전히 망쳐서 본의 아니게 탱킹을 한 적도 있었던 만큼 적당히 발을 걸치면서 눈치싸움을 한 끝에 도란의 영입까지 성공했다고 한다. 스토브 리그 시작 전부터 바이퍼의 재계약, 스토브 리그 개막 당일 제카의 재계약을 알리고 시작한 덕분에 스토브리그에서 선수들에게 가장 선호를 받는 팀이었다고 한다. 캐리력이 보장되는 핵심 딜러진이 그대로 남았으며 한화는 연봉과 복지가 좋은 팀으로도 LCK 내에선 상당히 유명한 데다 또 여전히 해외 진출에 부담을 느끼는 선수들이 많아[* 북미, 유럽처럼 리그의 수준을 생각하는 경우도 있고 LPL의 경우에도 통수계약이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시절 도시 봉쇄로 인해 어마어마한 압박감을 느꼈던 선수들이 많았는데 덕분에 이러한 경험담들이 선수들 사이에서 오고갔었다고 한다. 특히나 팀의 제카, 바이퍼는 중국 진출 당시 그 도시 봉쇄를 직접적으로 겪었던 선수들이었다.] LCK에서 뛴다면 뛸 수 있는 팀이 롤드컵 진출팀을 제외한다면 한화생명밖에 없었기 때문인데 유명 감독중에서도 한화생명으로 역오퍼를 건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제카와 바이퍼의 사전 재계약을 토대로 팀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게 되면서 스토브리그의 우선적 핵심으로 삼은 딜라이트를 영입할 수 있게 됐고[* 작년 스토브에서 딜라이트가 젠지와의 계약에 고민도 하지 않았다는 루머와 더불어 원딜로 바이퍼를 원했다는 루머가 있었다.] 이후 각 포지션의 1순위로 삼았던 피넛과 도란도 팀이 제시한 비전을 보고 팀에 합류할 수 있게 됐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이 팀의 이번 스토브리그는 '젠지생명'으로 요약할 수 있겠는데, 리그 쓰리핏을 달성한 2023년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젠지]]의 주전 로스터에서 무려 세 명의 선수를 영입해왔기 때문이다. 종합적으로 말하자면 2023 젠지에서 원딜이 월즈 우승경력이 있는 선수로 업그레이드된 로스터를 구축했다.[* 아이러니한 점은 제카와 바이퍼 모두 본인들이 우승할 때 젠지를 4강에서 탈락시키고 우승했다.] 그렇기에 리그에선 이전과 달리 확실히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을 것이란 팬들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